건강

헬레코박터균, 꼭 치료해야할까요

행복이1 2017. 7. 19. 23:24


잇님들~

무더위에 건강은 잘 챙기시는지요


얼마전 건강검진에서 헬리코박터균이 있다는 

의사소견과 함께 재균치료를 시작했답니다.


1차 치료 실패 후 2차 치료로 항생제 복용이 많아지면서

메스껍고, 어지럽고, 입이쓰면서 입맛도 없고, 체력저하 등

넘 힘들어 2주치료였으나 1주만 하고 약을 중단한 상태입니다.

한달 뒤 검사가 남았네요



헬리코박터균, 

누구나 꼭 제거해야만 할까요?


한국인의 1위 암인 위암의 주 원인이 

‘헬리코박터 파일로리(Helicobacter pylori)’다.


헬리코박터균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 높은 빈도로 분포하고 있으며, 

어린이의 20%, 중년층의 70%, 노년층의 90%가 감염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
헬리코박터균은 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된다. 

우리나라에는 술잔을 돌리는 습관을 비롯하여 여러 명이 수저를 이용하여 

한 그릇의 음식을 먹는 경우가 많고 어른이 음식을 씹어서 아기의 입에 넣어주는 일도 

있어 헬리코박터균의 감염률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. 

이 균에 감염되고 나면 균주의 다양성과 감염된 사람들의 감수성에 따라 다양한 상부 위장관 병변이 발생한다. 


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박재현 과장은 “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모든 사람이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. 그러나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있으면서 위궤양, 십이지장궤양이 있는 경우나 변연부 B세포 림프종을 앓는 경우라면 헬리코박터균을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”며 “또한 위염이 심하거나 소화불량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담당의사의 판단에 따라 선별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”고 말했다.


특히 궤양이 동반된 경우에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치료를 하지 않고 위장약을 복용하면서 궤양을 치료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. 실제 헬리코박터균에 대해 제균 치료를 하지 않은 십이지장궤양은 그 재발률이 60~100%에 달하며, 헬리코박터균이 성공적으로 제균 된 경우에는 5% 이내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. 


자료출처:코메디닷컴

http://m.kormedi.com/news/NewsView.aspx?pArtID=1216669


블친님들도 위내시경 검사시 꼭 헬리코박터균 검사 추가해서

하시고 만약 평소 위질환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시면 좋을것 같네요